청주 가덕면에서 진행된 농막 비닐하우스 시공의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자재 구성과 골조 설계, 샷시 설치, 피복재 선택은 물론 현장 관리 팁까지 한 번에 확인해 보세요.
목차
현장 개요 및 위치 확인
- 작업 규모와 현장 조건
- 폭 5m, 길이 12m, 측고 1.9m, 동고 3.3m로 설계된 기본 구조입니다. 골재와 골조의 안정성을 고려해 현장 여건에 맞춘 높이 조정도 가능합니다.
- 현장 준비와 일정 관리
- 자재는 시공 하루 전까지 현장으로 배송되며, 보통 일주일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합니다. 일부 주문제작 품목은 10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자재 구성과 구조 설계
- 프레임 및 골조
- 골조는 32mm 파이프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파이프 간격은 일반적으로 60cm로 맞춥니다. 필요 시 간격을 좁혀 강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피복자재의 구성
- 피복은 텐텐지 200g, 보온재, 차광필름의 3중 구조로 마감합니다. 내부는 차광필름으로 빛 차단과 온도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구성 요소 | 사양 | 주요 용도 |
---|---|---|
파이프 굵기 | 32mm | 골조 안정성 확보 |
간격 | 60cm | 균등 하중 분산 |
샷시 크기 | 1.5m x 1m(4개) / 4.0m x 2.0m 샷시 1개 | 환기 및 채광 조절 |
피복재 구성 | 텐텐지 200g + 보온재 + 차광필름 | 온도 관리와 차광 기능 |
샷시 설치 및 출입문 마감
- 샷시 구성과 제작 방식
- 측면은 1.5m x 1m 사이즈 4개를 설치하고, 전면 출입문은 4.0m x 2.0m 사이즈 1개로 구성합니다. 1.5×1 샷시는 주문제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비용과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출입문 배치와 기능
- 일반적인 배치로 중간 1개 출입문과 뒤쪽 2개 출입문이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위치를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샷시와 개폐 방식은 용도에 맞춰 선택합니다.
시공 준비와 현장 관리 포인트
- 자재 운반과 체계적 준비
- 시공 하루 전 자재가 현장에 도착하도록 관리하며, 자재의 일부는 주문 제작으로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현장 담당자는 위치 표시와 구조 확인을 미리 진행합니다.
- 현장 안전과 위치 표기
- 기초작업은 땅속에 전선이나 배관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현장에서 위치를 표시한 뒤 작업에 들어갑니다. 파이프 인발대 작업은 땅속 약 40~50cm 깊이로 수행합니다.
피복재 관리와 실용 팁
- 피복재의 역할과 조합
- 외부 피복은 흰색 텐텐지로 시작해 보온재로 열 손실을 줄이고, 차광필름으로 여름철 과열을 차단합니다. 내부는 차광필름으로 칸막이를 마감합니다.
- 관리와 교체 포인트
- 피복재의 수명 주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르며, 교체 주기나 손상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합니다. 필요 시 교체 시점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유지관리 및 실전 팁
- 설치 후 점검 포인트
- 샷시의 기능 점검, 출입문의 개폐 원활성, 피복재의 손상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연결부위의 누수나 이음새를 점검해 초기 보수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앞으로의 보완 아이디어
- 필요에 따라 추가 샷시나 창문의 크기 조정, 내부 오자를 통한 강도 보강 등을 고려해 보세요. 현장 상황에 맞춘 유연한 설계가 장점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1) 농막 비닐하우스시공은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자재 수급 상황과 현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준비 기간은 대체로 1주 내외, 실제 시공은 현장 여건에 따라 며칠 정도 소요됩니다.
2) 샷시 창문의 커스텀 주문은 왜 비용이 늘어나나요?
측면 1.5m x 1m 같은 비표준 사이즈는 주문 제작이 필요해 부품 수급과 가공 시간이 늘어 비용이 증가합니다.
3) 피복재 변경은 가능한가요?
가능하나 두께나 차광 성능에 따라 설치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선택 시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허가 및 설치 기준은 어디에서 확인하나요?
현장별 규정과 시공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며, 필요 시 현장 상담을 통해 최신 기준에 맞춘 절차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