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산업재해율 조회 확인서 발급 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쉽게 산업재해율 확인서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사업장 내 재해 현황을 파악하고, 자율적인 재해 예방 활동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율 개념과 산정 기준
산업재해율이란?
산업재해율은 사업장에서 발생한 재해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재해자 수를 산재보험적용 근로자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재해자 수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승인한 요양자와 유족급여를 받은 사망자를 포함하지만, 출퇴근 중 발생한 재해는 제외됩니다.
재해율 산정 방식
산업재해율의 산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재해율: (재해자수 / 산재보험적용근로자수) × 100
– 사고사망만인율: (사고사망자수 / 산재보험적용근로자수) × 10,000
– 사고사망자는 업무상 사고로 인한 사망자를 기준으로 하며, 출퇴근이나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제외됩니다.
사업장 산업재해율 조회 방법
온라인 조회 시스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사업장 산업재해율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산업재해율 조회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확인서 발급 절차
-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업장 정보를 입력합니다.
- 조회 버튼을 클릭하여 재해율 정보를 확인합니다.
- 필요한 경우 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산업재해율 갱신 절차
산업재해율은 매년 갱신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됩니다:
– 데이터 수집: 근로복지공단의 요양 승인 자료와 재해자 통계를 수집합니다.
– 통계 처리: 고용노동부와 협력하여 사업장 및 근로자 수 통계를 가공합니다.
– 보고 및 공표: 최종 통계 자료를 고용노동부에 보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재해현황을 공표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산업재해율 조회는 어떻게 하나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사업장 정보를 입력하면 즉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재해율 산정 시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는가요?
재해율은 근로복지공단의 승인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재해자 수는 요양 승인자와 유족급여 지급자를 포함합니다.
출퇴근 재해는 포함되나요?
출퇴근 중 발생한 재해는 제외되며, 사업주 지배하의 출퇴근은 반영됩니다.
산업재해율은 얼마나 자주 갱신되나요?
산업재해율은 매년 갱신되며, 통계는 익년도 3~4월 중 공표됩니다.
사업장 재해율은 어떻게 활용하나요?
사업장 재해율은 자율적인 재해 예방 활동과 안전 관리 방안 수립에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전 글: 원격의료 관련주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