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 분들이 많아요. 퇴직금 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지신다면, 아래를 읽어보시면 엑셀로 쉽게 퇴직금을 계산하는 법을 알게 될 거예요. 한 번의 계산으로 나의 퇴직금과 퇴직소득세를 한눈에 파악하세요.
퇴직금이 제대로 계산되었는지 궁금하다면, 이 글을 통해 실시간으로 퇴직금 계산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 지급일은 퇴직 후 14일 이내로 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일반적으로 근로 계약서에는 지급일자가 명시되어 있죠. 하지만 퇴직금은 근로자의 재직기간에 따라 달라지니, 최소 1년 이상 계속 근무해야 해당하는 법이랍니다.
-
지급 기준을 확인해보자!
-
1년 이상 근속: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기본 조건
- 주 15시간 이상 근무: 소정 근로 조건 준수
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퇴직금 지급이 어려워요.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평균임금의 30일분을 기준으로 계산해요. 평균 임금이란 퇴직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개월간의 급여 총액을 근로일 수로 나눈 것이죠.
2. 퇴직금 공식
퇴직금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
[
\text{퇴직금} = \left( \frac{\text{평균임금} \times 30일 \times \text{총 재직일수}}{365} \right)
]
- 이때,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 총 급여액 / 총 근로 일수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금도 소득의 일종이에요. 따라서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세금은 퇴직금 총액에서 근속 기간에 따라 공제되는 금액에 따라 다르게 계산되죠.
3. 세금 계산 흐름
- 공제액: 근속 기간에 따라 달라짐
- 환산 급여: 공제금액 적용 후의 금액
-
세율: 공제 후 금액에 따라 달라짐
-
근속기간에 따른 공제액 목록
근속 기간 | 공제액 |
---|---|
5년 이하 | 30만원 × 근속 연수 |
5~10년 | 150만원 + (50만원 × (근속 연수 – 5년)) |
10~20년 | 400만원 + (80만원 × (근속 연수 – 10년)) |
20년 초과 | 1200만원 + (120만원 × (근속 연수 – 20년)) |
퇴직금 자동 계산 서식 및 수식 작성
엑셀을 이용해 퇴직금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자동 계산 서식을 만들어 보도록 할게요.
4. 자동 계산 샘플 서식 만들기
퇴직금 계산 시트와 참조 시트를 두 개의 시트로 나누어 작성해 주세요. 주요 데이터는 흰색 셀에 입력하고, 나머지 셀은 수식으로 자동 계산되게 만들어요.
5. 자동 계산 수식
엑셀에서 사용할 수식은 아래와 같아요.
excel
1. D2셀: =DATEDIF(B1,D1,"d") // 근속 기간 일수
2. D3셀: =DATEDIF(B1,D1,"y") // 근속기간 (년)
3. B14셀: =ROUNDDOWN((SUM($B$10:$D$10)/SUM(B9:D9)),0) // 1일 평균 임금
4. D15셀: =IF(DATEDIF(B1,D1,"y")>=1, ROUNDDOWN(SUM(B15-B16),-1), "재직기간 미만") // 최종 퇴직금
각 셀의 수식은 계산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입력하신 평균임금과 근속 기간이 정확하다면 자동으로 퇴직금과 소득세를 계산해 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퇴직금을 언제 지급하나요?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퇴직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퇴직금에서 근속기간에 따른 공제액을 빼고 환산 급여에 비례한 세율로 계산합니다.
### 퇴직금 계산에 필요한 서식은 어떻게 만들죠?
엑셀에서 데이터 입력 셀과 자동 계산 셀을 구분하여 서식을 만드세요.
### 근속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재직 기간 미만일 경우 퇴직금을 지급받지 못하게 됩니다.
퇴직금 및 퇴직소득세를 엑셀로 쉽게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정보와 수식을 활용하셔서 여러분의 퇴직금을 정확히 계산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