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약품, 즉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약물은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 쓰레기로 버리는 것은 절대 금지이며, 그 이유와 올바른 배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폐의약품 배출의 중요성
화학 성분의 환경 오염
의약품에 포함된 화학 물질은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염은 물속 생물과 야생동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결국 인간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동물의 위험
버려진 의약품은 어린이와 반려동물이 우연히 섭취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와 같은 특정 약물은 내성균을 생성할 수 있어 공중 보건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폐의약품 수거 장소
부천시에서는 폐의약품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수거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수거 장소입니다.
부천시 보건소
- 주소: 부천시 원미구 옥사로 10번 길 16, 1층
- 문의: 032-625-4213
소사보건소
- 주소: 부천시 소사구 경인옛로 73, 1층
- 문의: 032-625-9813
오정보건소
- 주소: 부천시 오정구 성오로 172, 1층
- 문의: 032-625-9822
폐의약품 배출 방법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세요.
- 물약 및 시럽: 밀폐 용기에 담고 뚜껑을 잘 닫아 배출합니다.
- 가루약: 봉투에 그대로 담아 배출합니다.
- 알약: 케이스를 분리하고 알약만 따로 모아 배출합니다.
- 연고, 안약, 스프레이류: 2차 포장재를 제거한 후 마개를 잠그고 특수 용기에 담아 배출합니다.
유의사항: 일반 건강기능식품 및 소독제, 살충제는 폐기 대상이 아닙니다.
부천시 수거 가능한 약국
아래는 부천시에서 폐의약품을 수거할 수 있는 약국 목록입니다.
| 약국명 | 주소 | 연락처 |
|---|---|---|
| 메디온중동약국 | 부천시 길주로 191 (중동) | 032-325-0035 |
| 드림약국 | 길주로 219 508호 (중동) | 032-323-4288 |
| 파랑새약국 | 길주로 237 (중동) | 032-327-2188 |
| 중동유한약국 | 길주로 246 112A호 (중동) | 032-323-6446 |
| 장온누리약국 | 길주로 284 109호 (중동) | 032-326-8877 |
| 부천중동약국 | 길주로 288 105호 (중동) | 070-8261-0399 |
| 로얄약국 | 길주로 307 117호 (중동) | 032-328-4098 |
| 성운약국 | 길주로 319 (중동) | 032-323-9194 |
| 한사랑온누리약국 | 길주로 87 108호 (상동) | 032-327-4558 |
| 메디칼약국 | 도약로 29 102호 (상동) | 032-324-6877 |
우체국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
서울, 세종, 전남 나주에서 시범 운영되었던 우체통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가 올해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이 서비스는 폐의약품을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회수 봉투에 ‘폐의약품’이라고 기재한 후 우체통에 넣으면 됩니다. 단, 물약은 보건소나 지정 약국에 배출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폐의약품을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의약품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인간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폐의약품을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
부천시의 보건소나 지정 약국에 있는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하거나 우체국 회수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물약이나 시럽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밀폐 용기에 담고 뚜껑을 잘 닫아 폐기해야 합니다.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는 어디에서 이용할 수 있나요?
전국의 우체국에서 우체통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