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위계층은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를 의미하며, 기초생활수급자와는 다르지만 다양한 정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차상위계층의 기준 확인 방법과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혜택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위계층 기준 확인 방법
차상위계층은 행복e음 자료 보유자와 미보유자로 나누어 선정됩니다.
행복e음 자료 보유자
이 경우, 가구원 모두의 소득 및 재산 자료가 이미 보유되어 있어, 이를 기반으로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됩니다.
행복e음 자료 미보유자
거주지의 주민센터를 통해 차상위계층 신청을 하며, 소득과 재산 자료를 검토한 후 선정됩니다.
차상위계층 적용 기준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부양의무자가 있어 기초생활수급자에서 탈락한 경우
- 소득과 재산이 적용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 차상위 자활 근로 참가자의 경우
- 차상위 장애(아동)수당 수급자의 경우
- 차상위 장애인 연금 부가 급여 수급자의 경우
- 차상위 한 부모 가족 보호 대상자의 경우
- 차상위 확인서 발급 대상자의 경우
2020년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차상위계층 선정 기준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 차상위계층 선정 기준 |
---|---|---|
1인가구 | 1,757,194원 | 878,597원 |
2인가구 | 2,991,980원 | 1,495,990원 |
3인가구 | 3,870,577원 | 1,935,289원 |
4인가구 | 4,749,174원 | 2,374,587원 |
5인가구 | 5,627,771원 | 2,813,886원 |
차상위계층 복지 혜택
차상위계층은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강보험료 지원: 건강보험료 전액 지원
- 평생 교육 바우처: 연간 35만원 이내의 평생 교육 바우처 지원
- 이동통신료 지원: 월 35~50% 감면, 최대 33,500원까지
- 방과후 보육료 지원
- 영구임대주택 공급 지원
- 자산형성 지원: 희망키움통장 및 내일키움통장
- 문화이용권 지원: 문화, 여행, 스포츠 관람 기회를 제공
- 생계지원: 학교 우유급식, 푸드뱅크 식품 지원 등
- 의료지원: 본인 부담금 관련 검사비, 진료비, 수술비 지원
- 주거지원: 노후 시설 개선 지원
- 교육지원: 학자금, 급식비, 수강료 지원
- 돌봄지원 및 법률 금융지원
복지로 홈페이지 차상위계층 혜택 찾는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차상위계층의 혜택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검색창에 ‘복지로’를 입력하고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홈페이지 메인페이지 중간에 위치한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에서 ‘저소득층’ > ‘차상위계층’을 클릭합니다.
- 차상위계층 복지서비스 목록에서 다양한 혜택을 확인하고, 자세한 조건이나 신청 방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정부의 다양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차상위계층의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되나요?
2020년 기준으로 1인가구는 878,597원, 2인가구는 1,495,990원, 3인가구는 1,935,289원, 4인가구는 2,374,587원, 5인가구는 2,813,886원입니다.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되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건강보험료 지원, 평생 교육 바우처, 이동통신료 지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상위계층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주민센터를 통해 소득 및 재산 자료를 제출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행복e음 자료가 없는 경우 이 경로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어떤 정보를 찾을 수 있나요?
차상위계층의 다양한 혜택과 신청 방법, 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전 글: 2025 MSI 티켓 예매 정보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