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이용 안내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이용 안내

한국장학재단은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장학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고객센터 전화번호, 상담시간, ARS 단축키, 온라인 및 방문 상담 방법, 실제 사례를 종합적으로 안내드립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핵심 연락처와 운영시간

대표 고객센터

  • 전화번호: 1599-2000
  • 상담시간: 평일 09:00~18:00 (상담원 연결)
  • ARS 이용: 365일 24시간 일부 메뉴 제공

업무별 대표 번호

  • 고객상담센터: 1599-2000, 02-6250-9500
  • 연체 6개월 이내: 1599-2230
  • 기한이익상실(연체 6개월 이상): 1599-2250
  • 농어촌융자 연체/신용회복: 1599-2270
  • 우수·근로장학/인재육성: 1599-2290
  • 취업연계 지원사업: 1800-0499

빠른 연결 요령

  • 자주 문의하는 학자금 대출 및 국가장학 관련 상담은 1599-2000으로 시작합니다.
  • ARS 단축키를 사용하여 상담원과 빠르게 연결할 수 있으며, 오전 10~11시, 오후 2~3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ARS 단축번호 요약

ARS에서 아래 단축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국가장학금
  2. 1: 신청 안내
  3. 2: 서류제출 안내
  4. 0: 상담원 연결

  5. 학자금대출

  6. 1: 신청 안내
  7. 2: 지급실행 안내
  8. 0: 상담원 연결

  9. 학자금 지원구간

  10. 1: 결과확인
  11. 0: 상담원 연결

  12. 대출상환

  13. 1: 대출현황
  14. 0: 상담원 연결

  15. 신용회복

  16. 1: 채무종합 조회
  17. 0: 상담원 연결

  18. 우수/근로장학

  19. 0: 상담원 연결

  20. 취업연계

  21. 0: 상담원 연결

온라인·모바일 상담 방법

가장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온라인을 통한 상담입니다. 아래 순서를 참고하세요.

  1. 자주 묻는 질문(FAQ) 검색
  2. 내 신청현황 및 서류제출 현황 확인
  3. ARS 단축키 이용
  4. 상담원 연결

온라인에서 가능한 서비스

  • 장학 및 대출 신청현황 조회
  • 서류 업로드 및 보완
  • 상환 스케줄 및 연체 정보 확인

주의사항

  • 본인 및 가구원 인증이 필요하며, 필요한 서류만 제출해야 합니다.

국가근로장학 자격과 진행 진행

기본 요건

  • 국내 참여대학 재학생
  • 직전학기 성적 C0(70/100) 이상
  • 학자금 지원구간 8구간 이하

진행 순서

  1. 온라인 신청 후 1~3일 내 서류제출 여부 확인
  2. 대상자라면 필요한 서류만 업로드
  3. 대학 방침에 따라 희망근로지 신청

자주하는 실수

  • 보호자 명의로 신청하는 경우
  • 소속대학 오입력
  • 다자녀 증빙 누락 등

방문 상담 이용 안내

방문 상담은 아래의 주요 거점에서 가능하며 운영시간은 평일 09:00~18:00입니다.

  • 서울청년창업센터
  • 부산청년창업센터
  • 대구청년창업센터
  • 광주청년창업센터
  • 대전청년창업센터
  • 경기지역센터
  • 강원지역센터
  • 충북지역센터
  • 전북지역센터

방문 전 체크사항

  • 민원 성격에 따라 온라인이나 ARS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신분증 및 신청번호 지참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휴학생도 국가장학 신청 가능?

신청은 가능하지만, 휴학 학기에는 수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등록 후 휴학하면 수혜 가능합니다.

취업후상환 대출 나이 제한은?

학부는 만 35세 이하, 대학원은 만 40세 이하입니다.

기부는 어떻게 하나요?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온라인 약정 후 결제수단을 선택하여 기부할 수 있습니다.

실제 상담 사례로 배우는 해결 포인트

사례 ① 서류 누락으로 국가장학 심사 지연

신청 완료 후 서류 제출을 놓친 경우, 서류제출 현황을 재확인하고 즉시 업로드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례 ② 지원구간 이의신청 타이밍

가구원 소득 변동이 발생한 경우, 기한 내 소명자료를 업로드하여 반영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사례 ③ 취업후상환 상환유예 문의

소득공제 후 연소득 기준 미달 시, 소득확인 및 상환유예 절차 안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례 ④ 연체 6개월 경과로 기한이익상실 통지

연체로 인한 채무 일시상환 요구 시 전용번호로 상담하여 분할상환안을 재협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체크리스트

  • 대표번호 1599-2000에 연락
  • 상담시간은 09:00~18:00
  • ARS 단축키 활용 및 온라인 신청 현황 점검
  • 방문 상담 시 신분증 및 식별 정보 지참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 웰리힐리파크 스키장 시즌권 및 개장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