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1일부터 보건소의 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에 있어 소득 기준과 나이 기준이 폐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임산부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위험산모 지원 기준
고위험 임신 정의
고위험 임신은 임신 전이나 중에 발생한 상태로 인해 산모나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고위험 임신은 전체 임신의 20%에서 30%를 차지하며, 이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초기 대처가 필수적입니다.
고위험산모의 기준
고위험산모는 다음과 같은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될 경우 분류됩니다.
임신 전 기준
- 19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
- 과거에 잦은 유산, 기형아, 조산, 사산 경험
- 유전 질환의 가족력
- 당뇨, 고혈압, 심장병 등 만성질환 보유
- 저체중 또는 비만
- 자궁 및 자궁경부 기형
- Rh 음성 산모
임신 중 기준
- 임신성 당뇨병
- 기형아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
-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
- 태아 발육 부전
- 조기 양막 파수 및 진통
- 임신 중독증 및 전치태반
- 다태 임신 등
지원 정책
2024년부터는 중위소득 기준이 폐지되어 보다 많은 고위험산모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위험산모 지원 대상
고위험산모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됩니다.
– 조기 진통
– 중증 임신중독증
– 양막의 조기 파열
– 태반 조기 박리
– 자궁경부 무력증 등
지원되는 질병코드는 총 19개로 다양하며, 지원 기간 내의 진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 고위험산모 지원 내용
- 지원 금액: 본인 부담금 및 비급여 항목의 90%를 지원
- 지원 한도: 최대 300만원
- 제외 항목: 보호자 식대, 예방접종, 한방 진료 등
신청 기한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 가능하며, 2023년에 출산한 경우에도 2024년 내에 신청 가능합니다.
고위험산모 지원 필요 서류
방문 시 필요한 서류
- 신분증 (산모 본인)
- 진단서 (질병명, 질병코드, 최초 진단일 포함)
- 진료비 영수증 및 세부내역서
- 통장 사본 (산모 본인)
온라인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가족관계 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진단서 및 진료비 영수증
- 통장 사본
선택 서류 (해당 시)
- 출생보고서 또는 출생증명서
- 사산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고위험산모 지원 신청 방법
신청은 거주지의 보건소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접수하거나,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의료비 지원 확대는 고위험산모에게 큰 도움이 되며, 이번 기준 변경으로 많은 임산부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고위험산모 지원금은 언제까지 신청할 수 있나요?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어떤 질병에 대해 지원이 되나요?
조기진통, 중증 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해 지원됩니다.
지원 금액은 얼마나 되나요?
전액 본인 부담금과 비급여 항목의 90%를 지원하며, 최대 3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신청 시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
신분증, 진단서, 진료비 영수증 등 여러 서류가 필요합니다.
지원이 거부될 수 있는 경우는?
제외 항목에 해당하는 비용은 지원되지 않습니다.